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.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대회 '생존게임'이 됐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. 얼마나 심각한 건가요? <br> <br>취재팀이 주최 측이 만든 공식계정을 모두 들어가봤는데요. <br><br>당장 딸을 데려오기 위해 비행기 표를 예약했다는 외국인 부모, 대회장을 지옥, 재앙이라고 표현한 글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.<br><br>열사병이 생겨 링거를 맞기 위해 찾았다는 대회장 내 진료소는 분쟁지역에 설치된 간이 진료소 같았다는 글도 눈에 띄었는데요. <br> <br>좁은 진료소에 탈진으로 쓰러진 참가자들이 대거 몰리면서 누울 병상도 없어 복도 의자에 앉아 링거을 맞았다고 합니다. <br> <br>그럴만도 한 게 개영식이 한창이던 어젯밤 9시 무렵 행사장이 있는 전북 부안의 기온은 28도를 육박했는데요. <br> <br>한 자리에 수만 명이 모여 있어 실제 참가자가 느꼈을 더위는 훨씬 심했을 겁니다 <br><br>잼버리 조직위는 어제까지 야영지 내에서 992명의 환자가 발생했는데, 이중 200명 이상이 온열환자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참가자 얘기 들어보시죠 <br><br>[줄리아 / 헝가리 참가자]<br>사람들이 너무 많은데 그 안에서 밀착해 계속 이동해야 하니까 힘들어요. 이런 날씨 경험해본 적이 없어요.<br><br>Q2. 그런데 주변에서도 이런 말 많이 물어보십니다. 하필 가장 덥고 습한 이 때에 꼭 했어야 해야 하는 건가요? <br> <br>네, 지금까지 잼버리를 개최한 25개 국가 중 22개국이 모두 7,8월에 열었습니다. <br> <br>다른 국가들도 대체로 여름에 개최했고 무엇보다 160개 회원국 청소년이 대거 참여해야하기 때문에 여름방학인 이맘때가 적기라는 게 조직위 설명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 때에 꼭 해야 한다면 고온 다습한 환경을 이겨낼 시설을 갖춰뒀냐는 것도 따져봐야할 문제일텐데요. <br> <br>야영장의 기온은 38도를 치솟았는데 서해에서 불어오는 습한 바람이 더해져 한 마디로 한증막 안에 있는 것처럼 숨이 턱턱 막히거든요. <br> <br>물론 우리나라만 이런 간척지에 지은 건 아닙니다.<br><br>8년 전인 2015년 잼버리 대회를 개최한 일본도 간척지에서 열었는데요. <br><br>당시 일본은 땅을 주변보다 높게 올려 배수를 원활하게 했습니다. <br><br>반면 지금 우리나라는 지독한 폭염과 강한 폭우가 겹치면서 잼버리 현장은 군데군데 물웅덩이가 생겼고요. <br> <br>메꾸지 않아 모기 등 벌레떼도 창궐했습니다. <br><br>모기떼가 득실거리며 잠을 이루지 못했다는 참가자들의 하소연도 많았는데요. <br> <br>실제로 벌레 때문에 진료실을 찾은 경우도 상당수입니다. <br><br>Q3. 이 시기에 간척지를 행사장으로 선택했다면 그에 맞는 변수와 대책도 세웠어야 하는거 아닌가요? <br> <br>조직위가 열기를 낮추기 위해 살수차를 동원해서 야영장 곳곳에 물을 뿌렸는데 원체 습한 날씨 탓에 소용이 없었습니다. <br> <br>탈진을 막아줄 물과, 얼음 공급도 부족했습니다. <br><br>살인적인 날씨에 온열환자가 속출하면서 외국도 우리나라 상황을 주시하고 있는데요. <br><br>영국 정부도 현장에 파견된 주한영국대사관 직원들을 통해 자국 대원들의 안전을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주요 외신도 잼버리 행사장의 폭염 소식을 전했는데요. <br><br>영국 가디언지는 "수백 명이 병에 걸렸다"고 보도하며 "그늘을 찾아도 바람이 거의 없다"는 등 행사 내 폭염 관련 대책의 부실함을 꼬집었습니다. <br> <br>미국 AP통신은 "광활하고 나무 없는 지역에서 개최하는 데에 우려가 있었다"며 "의료진을 추가하면서 행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> <br>이 정도로 심각한데 전북 도의원이 이런 말을 또 논란을 사고 있습니다. <br><br>염영선 전북도의원은 "일부 도의원과 언론이 폭염을 걱정하는데 충분히 감내할만한 상황이었다. 무엇보다 잼버리는 피서가 아니다. 고생을 사서하는 고난극복체험 이라고 적었습니다,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도 스카우트 정신만 강조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입니다. <br><br>Q4. 결국 총리실이 나섰다면서요. <br> <br>한덕수 국무총리는 오늘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에게 대회가 끝날 때까지 현장을 지키라고 주문했습니다. <br><br>현장에서 보고 즉각적으로 대응하라는 걸텐데요. <br> <br>매일 브리핑을 하며 정확한 현재 상황과 조치한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라고도 주문했는데요. <br> <br>행안부는 잼버리 행사장 내 폭염 저감 시설 추가 설치와 폭염 예방물품을 지원하기 위해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30억 원을 교부하며 안전 확보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